2025년 소아암 의료비 지원제도 총정리
2025년부터 적용되는 보건복지부 소아암 환자 의료비 지원 기준이 새롭게 변경되었습니다. 소득, 재산 기준뿐 아니라 대상 질환과 구비 서류까지 세분화되어 있어, 정확한 정보 확인이 중요한데요. 이 글에서는 지원 대상자 선정 기준, 지원 항목, 필요 서류, 지원 금액을 정리해 드립니다.
1. 소아암 의료비 지원 대상자 기준
보건복지부는 소아암 환자 중 만 18세 미만을 대상으로 의료비를 지원하며, 건강보험 가입 여부와 소득·재산 수준에 따라 지원 자격이 달라집니다.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지원 대상자로 선정됩니다.
✅ 대상자 조건 요약
- 건강보험(차상위 포함) 또는 의료급여 수급권자
- 만 18세 미만으로 진단 및 등록된 암 환자
- 매년 소득 및 재산 조사 필요
- 국내 거주 외국인 중 난민·북한이탈주민 등은 별도 기준 적용
2. 지원 항목 및 암종 종류
2025년 기준, 보건복지부는 아래와 같은 암종에 해당하는 소아환자에게 의료비를 지원합니다.
📌 지원 암종 코드
- 악성 신생물 (C00~C97)
- 제자리암종 (D00~D09)
- 행동양식 불명 및 미상의 신생물(D37~D48) 중 일부: D45, D46, D47.1, D47.3, D47.4, D47.5
단, 상기 코드는 의료진 진단서 및 의무기록을 통해 확인된 경우에만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.
3. 소득 및 재산 기준표 (2025년)
소아암 의료비 지원은 소득 및 재산 기준 모두 충족해야 하며, 2025년 기준 아래 표를 초과할 경우 지원이 제한됩니다.
📊 소득 기준표 (가구원 수별)
가구원 수 | 소득 기준 (원) |
---|---|
1인 | 2,870,416 |
2인 | 4,719,190 |
3인 | 6,304,242 |
4인 | 7,317,328 |
5인 | 8,529,830 |
💰 재산 기준표 (2025년)
가구원 수 | 재산 기준 (원) |
---|---|
1인 | 96,451,000 |
2인 | 161,474,615 |
3인 | 272,474,555 |
4인 | 400,288,019 |
4. 제출서류 정리표
신청 시 제출해야 할 서류는 가구 구성, 소득, 재산, 부채 등에 따라 다릅니다. 다음 표는 제출서류를 항목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.
제출 목적 | 제출 서류 | 비고 |
---|---|---|
가구원 확인 | 실종 신고서, 가족관계등록부 등 | 행방불명자는 병감 기준에서 제외 |
소득 확인 | 소득금액증명원, 급여명세서 | 사업소득 확인도 포함 |
재산 확인 | 임대차계약서, 부동산 등기부 | 전세 보증금 등 포함 |
5. 꼭 체크할 포인트 요약
- 지원대상은 만 18세 미만 + 건강보험/의료급여 가입자
- 소득 및 재산 기준은 매년 갱신되며 모두 충족 필요
- 지원 암종은 C00~C97, 일부 D코드까지 포함
- 구비서류는 가구원 구성, 소득, 재산 등 항목별로 세분화
📌 신청은 관할 보건소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통해 가능합니다. 더 많은 정보는 보건복지부 공식 자료를 참조하세요.
📚 참고자료:
보건복지부 ‘2025년 소아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지침서’ 기준
https://www.mohw.go.kr/